마인드는 장사뿐 아니라 모든 일을 할 때 마음속 깊이 단단히 박아놓고 시작해야 합니다. 장사, 투자, 공부, 업무, 운동 등 모든 분야에서 성공하기 위해선 그만큼 각오가 되어 있어야 하고 강한 내적 마인드로 무장한 상태로 뛰어들지 않으면 백전백패가 불 보듯 뻔합니다. 유튜버 장사의 신에서 언급된 주옥같은 마인드 글을 받아 적어 가며 오늘도 가슴에 새깁니다.
- 우리가 태어날 때 가난하게 태어난 건 우리 죄가 아니지만 가난하게 죽는 건 죄다.
내가 가난하게 태어난 것은 나의 의지가 아니지만 가난하게 죽는 것은 내 삶의 태도에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게 게으름이든 무지든 간에.
- 사소한 거 하나가 사람을 바꾸는 것이지 대단한 게 당신을 바꾸는 게 아니다.
큰 부자가 되고자 하는 사람도 단돈 1000원부터 모아야 한다. 작은 것도 컨트롤하지 못하면서 큰 것은 어찌 컨트롤하랴
- 당신이 시도를 해봤냐 안 해봤냐가 진짜 중요하다. 시도를 하다 보면 뭔가 하나가 걸리게 돼 있다.
백날 머리 싸매고 '이게 좋을까 저게 좋을까, 이 아이템이 좋을까 저 아이템이 좋을까' 생각해 봐야 답을 알 수 없다. 정말 대박이라고 생각한 것들이 시장에선 묻히고 기대도 안 했던 게 엄청난 매출을 일으키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그렇기 때문에 시도 후 실패했을 때 큰 리스크를 지는 게 아니라면 다양하게 시도해 보는 것이 무조건 맞다. 유튜버 신사임당 님도 지금 채널을 키우기까지 여러 채널을 만들어 테스트해 보고 실패했고 그중 얻어걸린 게 신사임당 채널이라고 말씀하셨다.
- 20대 때는 쉬지 말고 30대 때는 한 달에 한번 쉬고 40대 때는 한 달에 두 번 쉬는 거임
이 정도 깡이면 세상 못할 게 없다고 생각한다. 나 자신에게 너무 관대한 것 같아 반성하게 된다.
- 버는 만큼 일하지 말고 벌고 싶은 만큼 일하라.
정말 공감되는 말이다. 벌고 싶은 만큼 일하라. 하지만 그게 잘 안 되는 게 사실이다.
- 계속 잘됐으면 좋겠지만 계속 잘되진 않는다. 직원들도 관두고 사장도 고기 많이 구워 손목이 나가서 일도 제대로 못한다. 이런 상황들이 계속 발생할 텐데 이런 상황들을 잘 이겨 낸 사람은 돈을 버는 거고 무너지는 사람은 망하는 것이다.
진입장벽이 높은 산업군이나 직업군은 진입부터 그렇지 않은 사람과 차별이 돼서 어느 정도 경쟁우위가 생기지만 진입장벽이 낮은 곳에선 누가 오래 버티느냐가 굉장히 중요하다. 경제위기 등 큰 시련이 오면 주변 경쟁자들이 우르르 나가떨어지고 그 시기를 버틴 자들은 웃게 될 것이다. 주식도 마찬가지고 투자도 마찬가지. 어려운 시기에 손절하고 털고 나가면 그냥 게임 끝나는 것이다. 그러지 않으려면 그 시기를 버틸 수 있는 체력이 필요하다.
- 안 되는 이유를 찾지 마라. 잘됐을 때를 생각하고 잘 되는 이유를 찾아라, 분명 상승세를 탔던 시기가 있었을 것이고 그때를 다시 생각해 보고 '내가 그때 그렇게 했으니까 됐었구나'를 찾고 거기에 조금만 더 신경 쓰면 된다
일을 하다 보면 슬럼프가 올 때가 꼭 있는데 그럴 때는 잘됐을 때 내가 어떻게 했는지를 곰곰이 생각해 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손님에게 어떻게 대했는지, 제품은 어땠고 홍보는 어땠는지 등을 잘 분석해 보면 해결책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반복되는 운은 실력이고 반복되는 실패는 습관이다. 그 습관은 누군가 조언해줬을 때 바꿀 수 있어야만 조금이라도 변할 수 있다.
실패의 이유를 남 탓, 환경 탓 등 외부요인으로 돌려 자위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런 사람들은 또 실패할 수밖에 없다. 설령 정말 실패의 원인이 외부요인이라고 할지라도 그 외부요인에서 리스크를 최대한 줄이는 방법을 생각하고 대비하지 않은 자신의 잘못이다. 과연 자신이 탓한 그 외부요인이 정말 대비할 수 없었는지는 잘 생각해 보아야 한다.
- 내가 능력이 안되면 남이 하는 것을 보고 배워라.
지금은 정보가 넘쳐나는 세상이다. 내가 가려고 하는 그 길을 가본 사람이 수도 없이 많고 우리 주변에 그 길을 가기 위해 필요한 조언을 하는 사람들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전통적으로는 책이 그 역할을 했고 최근에는 유튜브, 블로그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미 가본 사람에게 물어보고 최대한 리스크를 줄이며 갈 생각을 하라. 필요하다면 강의를 듣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나의 시간과 돈을 아낄 수 있다면 안 할 이유가 없지 않은가?
- 식당은 맛있다고 다 줄 서는 게 아니다.
맛집이라고 소문난 집에 음식이 크게 감흥을 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식당이 성공하기 위해서 음식 맛이 중요하지 않다는 게 아니라 음식 맛이 다가 아니란 얘기다. 맛있는 건 그냥 디폴트 값이다. 음식 맛+무언가가 있어야 한다. 그건 서비스, 분위기, 색다른 경험 등이 있을 수 있고 그 차별화를 통해 유명 식당으로 거듭날 수 있다.
- 돈을 써야 돈을 번다. 직원을 써야 돈을 번다. 직원이 돈 벌어 주는 것이다.
직원에게 주는 월급이 아까워서 혼자 일하면 딱 그만큼만 벌게 된다. 하지만 직원을 고용하는 순간 이제 자기 사업장에 달린 목숨은 자신+직원이 된다. 자기 혼자 할 땐 돈 못 벌면 조금만 가져가면 됐지만 직원이 있으면 이번 달 수입이 적다고 직원 월급을 적게 줄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렇기 때문에 직원 고용을 통해 더 열심히 일하게 되고 매출 또한 자연스레 늘어난다. 열심히 일 안 하고 적당히 벌고 싶다고? 그러면 혼자 하면 된다.
- 고객은 우리 노동의 가치를 음식값으로 측정해주지 않는다. 가슴 아픈 일이지만 우리가 5시간 동안 육수를 끓이든 고객은 그런 거 신경 쓰지 않는다. 고객이 만 원짜리 음식을 먹었을 때 만 오천 원의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면 먹는 거고 7천 원의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면 다시 오지 않는다.
내 기준으로 생각하지 말고 서비스를 받을 상대방이 내가 주는 서비스를 어떻게 생각할지를 고민하자. 이건 일상생활에서도 바로 적용되는 게, 지인 생일이라고 나름 비싼 선물을 사주면 뭐하나, 지인은 필요 없는 물건인데... 혼자 비싼 물건 선물해줬다고 기분 좋아하지 말고 받을 상대방이 어떻게 생각할지 고민하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