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3

2040 서울도시 기본계획-2.보행일상권 조성(13-17p) 말그대로 걸어다닐 수 있는 거리 내에서 주거와 일자리, 여가생활을 가능하게 조성하겠다는 말이다. 이걸 실행시키려면 결국 기존에 공업지역/상업지역/주거지역의 개념을 섞어야 하는데 여기서 호재를 보는 지역이 생길 것이다. 기존 상업지역보다는 층고제한이 많은 1,2종 주거지역...에 고층건축물이 들어올 가능성이 있다고 보여진다. 2040 서울도시 기본계획-3.수변중심 공간 재편(18-24p) 서울시를 가로지르는 한강, 중랑천 등 각종 수변을 활용해 다양한 생활공간으로 만들겠다는 거다. 가만 생각해 보니 대구는 기존 천을 덮어서 도로를 만들었는데... 그 복개도로를 다시 천으로 tqqq10in10.tistory.com 2022. 3. 7.
2040 서울도시 기본계획-1.방향(1-12p) 2040 서울도시 기본계획의 방향(1-12p) 꿀발린 비전과 목표는 옆으로 놔두고 흐름정도를 이해하는 정도로 보는게 맞다. 이건 일종에 비전이기 때문에 비현실성도 어느정도 있고 두루뭉실한 면도 있다. 그러니 우린 어디가 어떤 방향으로 개발될 것인가를 중점적으로 보면 된다. 물론 중점적으로 보고싶어도 자세히 안나와 있다. 맥락만 잡는것이다. 결국 도시공간 재구조화와 미래 도시 인프라 구축을 하겠다는 거고 도시공간 재구조화에는 1. 보행일상권 조성 2. 수변중심 공간 재편 3. 미래성장거점, 중심지 혁신 4. 다양한 도시모습, 도시계획 대전환 미래 도시 인프라 구축에는 5. 기반시설 입체화(지상철도 지하화) 6. 미래교통 인프라 확충 을 통해 돈이 몰릴 곳을 느껴보자 2040 서울도시 기본계획-2.보행일상권.. 2022. 3. 7.
학군으로 움직이는 대구 부동산 시장과 내 생각(정프로님) 대구 부동산 시장은 유독 학군에 의해 결정된다. 범어4동 임장만 가봐도 알 수 있듯이 수도권 지역 입지 얘기하면서 꼭 나오는 교통호재, 양질의 일자리, 편의시설 이런 거 없다. 지하철은 2호선 하나 있고 지하철역에서 멀어도 비싼 아파트 많다. 범어4동엔 일자리 자체가 없고 대형마트, 병원 같은 편의시설도 없다. 그냥 주택과 학원가, 명문고 밖에 없다. 수시에서 여학생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밀리는 남학생들이 점수를 잘 받을 수 있는 곳이 남고이고 2017년 경신고가 자사고에서 일반고로 바뀌면서 거리 배정에 의한 학교배정으로 범어4동 주변으로 몰리면서 시세 상승 지금까지 대구 내에서 깨끗이 바뀐 주거환경(수성동 3가)과 학군의 이동이 부의 이동을 가지고 왔다. 그렇다면 앞으로도 그럴것인가? 주거환경이 천지개벽.. 2022. 3. 7.
미래가 암울하다면 일단 1등석에 올라타자(머피님) 대한민국에 닥칠 확정적인 문제점 1. 수도권 과밀화로 인한 출산율 저하 왼쪽 사진은 인구비율로 본 대한민국 지도다. 서울, 인천, 경기도가 50%가량 차지하고 있는 기형적인 모습을 하고 있다. 이렇게 보니 흉측하지만 더 적나라하게 와닿는다. 그로 인해 합계출산율이 떨어지는 건 당연한 사실이다. 2020년 기준 가임여성 1명당 기대되는 출생아 수는 0.84명. 남녀가 결혼해서 1명도 안 낳는다. 당연히 인구가 줄 수밖에 없다. 2. 2052년 중위 나이 59세로 사회 전반적인 고령화 현재 시골에 가면 어르신들만 계신데 그 모습을 전국 어디에서든 볼 수 있고 단순히 사회 구성원의 인구가 고령화된 게 문제가 아니라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두 번째로 오래 살지만 노인 빈곤율이 OECD 국가 중 최고다. 노.. 2022. 3. 7.